표준 개요
표준의 개념
- 표준이란
- 무게ㆍ질량ㆍ범위ㆍ품질 등의 측정 원칙이나,
공정ㆍ분석 방법 등의 기술, 혹은 사회 문화적 관습이나 가치 등이
이해관계자들의 합의에 의해 결정된 것
-
- 사전적 의미
- 사물의 정도를 정하는 목표나 기준
-
- 국제적 통념
- 주어진 상황에서 최적의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활 동이나 그 결과에 대해 일상적이고 반복되는 사용, 규칙, 가이드라인 혹은 성질을
규정하는 문서로서 공인된 기구에 의해 합의에 기초하여 수립된 것 (ISO/IEC Guide 2: 2004)
-
- 국가적 통념
- 관계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익이나 편리가 공정하게 얻어지도록 통 일·단순화를 꾀할 목적으로, 물체·성능·능력·동작·절차·방법·수속·책임· 의무· 사고 방법 등에 대하여 정한 결정 (한국산업표준 규정, 국가기술표준원)
- 산업표준이란
- 광공업품의 종류, 형상, 품질, 생산 방법, 시험·검사·측정 방법 및 산업 활동과 관련된 서비스의
제공 방법·절차 등을 통일하고 단순화하기 위한 기준 (국가표준기본법 제3조)
- 산업표준이란
- 광공업품의 종류, 형상, 품질, 생산 방법,
시험·검사·측정 방법 및 산업 활동과 관련된
서비스의 제공 방법·절차 등을 통일하고
단순화하기 위한 기준 (국가표준기본법 제3조)
표준의 사례
-
- 고대문명의 화폐
-
-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고대 왕국인 리디아는 세계 최초의 화폐를 만듦
- 화폐는 그 가치를 국민들이 상호 인정해야 유통 가능하므로, 고대문명에서 대표적인 표준화의 산물이었음
-
- 진시황의 도량형
-
- 전국적으로 수레가 다니는 길의 폭을 일률적으로 정하여 육상교통 발전
- 간편한 서체를 선택하여 전국의 문자체 통일
- 표준이 되는 자와 저울을 배포하여 백성들의 물물교환을 용이하게 도움
-
- 삼국시대의 도량형
-
- 14세기 토지제도 실시 후 농지 측량에 자(尺)를 이용
-
- 세종대왕
-
- 도량형 표준화에 큰 성과(측우기, 수표, 물시계, 해시계)
-
- 표준시
-
- 1884년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과하는 자오선을 ‘경도 0도’로 승인
- 본초 자오시를 기준으로 표준 경선이 정해졌으며, 세계 여러 국가가 표준시를 사용
- 우리나라는 표준시 동경 135도선을 표준 경선으로 하며, 세계 표준시보다 9시간 빠름
-
- A4용지
-
- 1975년 용지 사이즈를 국제표준으로 등록
- 전세계에 통용되는 용지 및 용지 활용 기계(복사기 등)들의 효율성을 강화함
KS에서 정한 종이 크기
KS인증의 지원 Size A열 용지(mm) B열 용지(mm) Size A열 용지(mm) B열 용지(mm) 0 841x1189 1000x1414 6 105x148 125x176 1 594x841 707x1000 7 74x105 88x125 2 420x594 1000x707 8 52x74 37x52 3 297x420 500x353 9 37x52 26x37 4 210x297 250x353 10 44x62 31x44 5 148x210 176x250
-
- 김치
-
- 한국의 '김치' 표준과 일본의 '기무치' 표준의 경쟁 끝에 2001년 '김치'가 국제식품표준으로 통용
-
- 픽토그램
-
- 2004년 한국의 공공안내그림표지(KS A 0901)를 제정비한 후 2005년 국제표준으로 채택
표준과 기술기준의 차이
- 표준은 임의표준과 강제표준으로 구분
- 강제표준 : 법으로 규정하여 생산자에게 의무화하는 표준(기술기준)
- 임의표준 : 생산자가 자율적 판단으로 선택하는 표준(KS산업표준, ISO표준, IEC표준 등)
표준 | 기술기준 |
---|---|
|
|
표준화의 개념
- 국제적 통념: 실질적이거나 잠재적인 문제들과 관련해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질서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일상적이고 반복되는 사용을 위한 규정을 수립하는 활동
(ISO/IEC Guide 2: 2004) - 표준화의 범위: 표준 제정 및 적용(인증, 인정 및 적합성평가 등)
표준의 구분
-
- 성문표준
- 국가와 사회의 모든 분야(생산.유통.소비.교통.통신.무역.서비스.보건.교육.행정.국방.건설.환경 및 생활 등)에서 총체적인 이해성.안전성.효율성.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강제 또는 자율적으로 일정 기간 적용하는 문서화된 규정.사양.용어.부호.기호 등
-
- 성문표준
- 길이.시간 등과 같은 물리적 양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세계에서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제 단위계(SI: International System of Unit)의 7개 기본 단위와 2개의 보충 단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유도 단위를 나타내기 위한 것, 표준 기준과 측정 계량 단위 및 표준 기준 물질 등
-
- 성문표준
- 측정 가능한 물리 또는 화확적 특성과 관련된 정량적 정보로서 그 신뢰성이 엄격히 평가된 정보, 물리 화학 상수, 관측 자료, 통계 데이터 등
표준의 체계
- 국제표준: 국제 표준화기구가 제정하고 그 회원국 등이 활용하는 표준(제정주체: ISO(국제표준화기구), IEC(국제전기기술위원회), ITU(국제전기통신연합) 등)
- 지역표준: 유럽 등 특정 지역에서 제정하여 활용하는 표준(제정주체: 유럽표준화위원회(CEN) 등)
- 국가표준: 국가 표준화기구가 제정하고 그 국가에서 사용하는 표준(우리나라의 KS, 일본의 JIS 등)
- 단체표준: 업계, 단체, 학회 등의 연합체들이 제정하여 사용하는 표준으로, 연합체에 가입했거나 이 표준을 승인한 회사와 단체 및 학회에 모두 적용
(제정주체: 미국 ASTM(미국재료시험협회), IEEE(전기전자기술자협회) 등) - 사내표준: 특정 조직 내에서 제정하고 활용하는 표준
표준의 역할 및 효과
- 호환성 확보: 기능이나 성능을 유지하면서 장치나 기기의 부품 등 구성 요소를 다른 기기의 요소와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는 상용성 확보
- 기본 품질 보장: 제품이나 서비스의 최소한의 품질 요건을 마련하고 만족시킴
- 정보 제공: 소비자와 표준 사용자들에게 중요 정보 제공
- 새로운 무역규범: 환경, 보건, 안전 등에 관해 자국에 유리한 국제표준을 제정하여 무역 경쟁의 수단으로 활용
- 사회 통합: 보건, 안전, 환경 등 사회의 건강과 안녕을 위한 규범 마련
- 사회적 책임 이행: 기업의 윤리 의식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표준을 추진(ISO 26000 등)
- 기업 경영전략: 표준 제정 과정에서 시장의 기회와 위협 요인을 반영하기 때문에 전략적 경영활동이 가능
- 기술혁신도구: 기술 경제적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선의 기술(state-of-the-art)을 선택
표준화의 기본 원칙
- 합의성: 표준의 최종안을 이해관계자(회원 등)에 돌려 투표를 통해 합의 도출
- 공개성: 제정 과정은 모든 이해 관계자들에게 공개
- 독립성: 특수 이익을 위한 압력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집행
- 정당성: 표준 제정 절차는 공정하게 구성, 참여자들간 공평성 확보
- 효율성: 가능한 한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가장 적절하게 제정
- 투명성: 논의 과정과 재정 운영을 비롯한 모든 표준 제정 과정은 투명하게 진행
- 개방성: 모든 이해 관계자들은 표준 제정 과정에 참여
- 시장연계성: 시장의 가치와 경제성에 적합하게 제정
- 시의성: 시대적 요건에 맞게 시의 적절하게 제정
표준화의 주요 이해관계자
표준화 발전의 흐름
세 대 | 연 대 | 각 세대의 표준화 키워드 | 세대 전환의 충격 |
---|---|---|---|
제로세대 조직화 이전 |
산업혁명까지 (18세기말까지) |
자연발생적 언어, 단위, 물건, 도구 등의 통일 | 산업혁명 |
제1세대 성숙기 |
산업혁명에서 산업사회까지 (18세기말~1960년) |
양산기술과 관리 기술을 유지하는 표준화 근대적 표준화 태동(대량 생산) |
전후의 재출발 품질관리의 도입 |
제2세대 침투기 |
전후 부흥에서 고도성장시대까지 (1960년~1970년경) |
품질관리의 기초 보급 정적인 표현 |
고도성장에서 저성장으로 전환 경영 효율화 성숙 |
제3세대 전개기 |
저성장과 산업 육성시대 (1970년~1985년까지) |
경영 효율의 기초 제공 동적인 표준화 |
다양화와 변화의 대응 산업사회의 성숙 |
제4세대 신세대의 표준화 |
기술혁신 시대, 국제화 (1985년~2000년경) |
종합적(전사적) 품질경영 역동적인 표준화 |
신기술 산업사회로 진입 시스템적 접근 |
제5세대 | 21세기 이후 | 서비스 등 전 산업으로 표준 확대 IT 등 첨단 분야 표준화 |
디지털 산업사회 수요자 중심 사회 |